김세을10 빅데이터 경영, 선택이 아닌 필수 제2096호 2021.02.17~2021.02.23 빅데이터 경영, 선택이 아닌 필수 '애물단지' 데이터도 다시 보자 빅데이터가 주목받기 시작한 것은 2010년대 초반 실리콘밸리에서부터다. 특히 2014년, 빅데이터 기반 머신러닝 심사 모델로 미국 개인 신용대출 시장 10% 가까이 차지한 ‘렌딩클럽(Lending Club)’이 나스닥에 상장하면서 빅데이터에 대한 관심은 최고조에 이르렀다. 국내에서도 지난해 데이터 3법이 통과되고 마이데이터 사업자가 선정되면서 빅데이터는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 데이터 생산지이자 유통의 장으로 범위를 넓히게 됐다.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의사 결정을 내리고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창출하는 ‘빅데이터 플랫폼 전략’은 이 시대 가장 중요한 경영 패러다임으로 떠올랐다. 신종 코로나바.. 2021. 2. 21. 인터뷰 : 사소한 주변 일상이 킬러 콘텐츠의 원천 `콘텐츠, 플랫폼을 만나다` 책 낸 김세을 숭실대 겸임교수 패션·음식 등 의식주 콘텐츠 어느 시대에나 인기 모아 밀레니얼 감성 이해도 필요 "한 장의 사진이나 동영상이 생겼을 때, 예전에는 가족이나 친구에게 안부인사로 보내는 것이 고작이었지요. 요즘은 페이스북이나 유튜브, 인스타그램 같은 `플랫폼`에 올립니다. 거기에 세 줄의 감상을 덧붙이면 그 자체로 훌륭한 콘텐츠가 되죠. " 김세을 숭실대 경영대학원 겸임교수 (한국 빅데이터학회·콘텐츠경영학회 상임이사)가 "누구나 콘텐츠를 만들어내고, 플랫폼으로 발전시킬 수 있는 시대가 왔다"며 이같이 말했다. 6살짜리 아이 일상이나 반려동물과의 일기처럼 평범한 사람들의 모든 것이 콘텐츠가 될 수 있지만, 성패는 누가 `플랫폼 맞춤형 콘텐츠`를 만드느냐에 달려있다는 .. 2020. 6. 7. 이전 1 2 3 다음